보건학 2

감압병 원인, 증상, 치료

감압병은 압력이 감소하면서 고압이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혈액 및 조직의 질소가 용해되는 질병이다 증상으로는 피로 및 근육과 관절 통증이 있다. 보다 심각한 유형의 증상은 뇌졸중 증상과 유사하거나 무감각, 저림, 팔 또는 다리 쇠약, 불안정, 현기증, 호흡 곤란 및 흉통이 포함될 수 있다. 환자는 산소 및 재가압(고압 또는 고압 산소) 요법으로 치료한다. 수심과 잠수 시간 및 상승 속도를 제한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공기는 주로 질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는 고압 상태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심해에서 들이 쉬는 숨에는 수면에서 들이 쉬는 숨보다 훨씬 많은 분자가 들어 있다. 신체가 산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 상태에서 산소 분자를 추가로 흡입해도 보통 축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추가 질소 분자..

보건학 2021.04.23

산업안전보건법, 노출기준-TWA, STEL, C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 TWA 단시간노출기준 STEL 최고노출기준 C “노출기준”이란 근로자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 노출기준 이하 수준에서는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기준을 말하며, 1일 작업시간동안의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ime Weighted Average, TWA), 단시간노출기준(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 또는 최고노출기준(Ceiling, C)으로 표시한다.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인자의 측정치에 발생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C:유해인자의 측정치(단위:ppm, ㎎/㎥ 또는 개/㎤) T:유해인자의 발생시..

보건학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