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11

미생물의 종류 및 특성, 박테리아/조류/균류/원생동물 경험식

수질환경 생물학 ‧분자식(화학식) 박테리아(세균) : C5H7O2N, 조류 : C5H8O2N, 균류 : C10H17O6N, 원생동물 : C7H14O3N 1. 박테리아(Bacteria) -유기물 분해 및 폐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미생물 -크기는 대략 0.8~5um이며 막대기 모양(간균), 공모양(구균), 나사모양(나선균) 등 -구성은 약 80%가 물, 나머지 20%는 고형물질 -경험적 화학조성식은 호기성 박테리아가 C5H7O2N / 혐기성 박테리아가 C5H9O3N -성장에 필요한 BOD : N : P 의 적정비율은 100 : 5 : 1(무게비) 2. 균류(Fungi) -탄소동화작용을 하지 않는 다세포식물 -크기는 5~10um 정도로 사상균 -용존산소가 부족하거나 낮은 pH (2~5) 환경에서도 잘 성..

수질 2021.05.06

BOD 측정, 채취 시료량 계산, BOD 산출

BOD란 Bio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어로 생화학적 산소 소비량이라 불린다. 물속의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안정된 물질까지 산화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나타난다. BOD는 유기 오탁의 지표가 된다. BOD값이 높다는 것은 물속에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많은 산소가 필요한 것이다. 채취 시료량 계산 시료의 BOD값을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채취하는 시료량V(mL)는 아래 식에서 구할 수 있다. 최종 액량은 1L로 한다. BOD값 산출 배양 전후의 용존 산소량에서 (가), (나)의 식에서 시료의 BOD값을 산출한다. (가) 식종을 하지 않을 때 ​ (나) 식종을 했을 때 ​ BOD: 생화학적 산소 소비량(mgO/L) D1: 희석 시료를 조제하여..

수질 2021.04.28

BOD분석을 위한 희석수 요건, 희석수 조제

​ □ 희석수의 요건 독성물질이 없을것 이용가능한 보조 영양원소들이 존재할 것 토양기원의 혼합 미생물이 충분한 개체군으로 존재할 것 온도는 20℃, pH는 7.2로 조절할 것 ​ □ 희석수의 조제 ◦ 희석수의 산소 포화과정 : 물의 온도를 20 ℃로 조절하여 솜으로 막은 유리병에 넣고 용존산소가 포화되도록충분히 기간을 두거나, 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병에 넣어 흔들어서 포화시키거나, 압축공기를 넣어 줌 ◦ 용존산소를 포화시킨 증류수 1 L에 인산염완충액(phosphate buffer), 황산마그네슘용액(MgSO4), 염화칼슘용액(CaCl2) 및 염화제이철용액(FeCl3)을 1 mL씩 넣음. 이 액의 pH는 7.2임. pH가 7.2가 아닐 때에는 염산용액( 1 N ) 또는 수산화나트륨용액( 1 N )을..

수질 2021.04.28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녹색제품구매법 )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 약칭: 녹색제품구매법 )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의무) 공공기관의 장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녹색제품을 구매하여야 한다(제6조) (녹색제품의 구매지침) 환경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다음연도의 녹색제품 구매지침을 수립하여 공공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7조) (녹색제품의 구매이행계획) 공공기관의 장은 녹색제품 구매지침에 따라 매년 녹색제품 구매이행계획을 수립ㆍ공표하여야 한다(제8조) (녹색제품의 구매실적) 공공기관의 장은 이행계획에 따른 녹색제품의 구매실적을 집계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제9조) 공공기관은 공사설계서 등에 녹색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녹색제품의 구매촉진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제10조) ..

수질 2021.04.23

상수도시설 계획, 계획급수량의 산정, 계획급수량과 수도시설의 규모계획

(1)계획급수량의 정의 1)급수량은 상수 소비량 또는 상수 요구량이라 하며 단위는 lpcd(liter per capita day)이다. (2)급수량의 구성(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1)가정용수 2)영업용수 3)공업용수 4)공공용수 5)불명수량: 누수 등으로 인한 수량 6)소화용수 (3)계획급수량의 종류(특성, 공식) 1)계획 1일 평균급수량 ㉠약품, 전력사용량의 산정, 유지관리비, 상수도요금의 산정 등에 사용되므로 재정계획에 필요한 수량이다. ㉡계획 1일 평균급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계획 1일 평균급수량 =계획 1일 최대급수량×[0.7(중소도시), 0.85(대도시, 공업도시)] ※부하율(=급수량계수, 시간계수,(0.7, 0.85)) 2)계획 1일 최대급수량 ㉠..

수질 2021.04.22

상수도시설 계획, 계획 급수인구의 추정

(1)계획급수인구의 추정 : 과거 약 20년간의 인구증감 자료와 도시의 특수성, 발전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각 방법들 중에서 결정한다. (2)계획급수인구 추정법 1) 등차급수 방법 ㉠연평균 인구증가수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장래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발전이 느린 도시에 적합하다. ㉢추정인구가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P_n: 계획 연도의 추정인구, P_0: 현재 연도 인구(데이터에서 최종연수 인구), n: 현재부터 계획 연도까지 연수, alpha: 과거 데이터의 연평균 인구증가수(=(P_0-P_t)/t, P_t: 현재부터 t년전의 인구(최초년도 인구) 2) 등비급수 방법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장래의 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당히 긴 기간동안 같은 인구증가율..

수질 2021.04.2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같이 읽으면 좋은 글] lottolearn.tistory.com/15?category=97768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 lottolearn.tistory.com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먹는물 중의 함유실태조사 등의 감시가 필요한 물질을 말한..

수질 2021.04.22

라돈, 과불화화합물(PFOS, PFOA, PFHxS)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2018.05.)

[같이 읽으면 좋은 글] lottolearn.tistory.com/15?category=97768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 lottolearn.tistory.com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지하수를 사용하는 일부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검출되는 라돈과 정수장 미규제 미량유해물질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과불화화합물 3종을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신규 지정한다.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되면, 수도사업자(지방자치단체·수공)는 주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

수질 2021.04.22

하천의 수질변화/자정작용, Whipple의 4단계

하천의 수질변화(Whipple의 4단계) 분해지대→활발한 분해지대→회복지대→정수지대 지대(Zone) 변화 과정 분해 지대 ·오염된 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나빠지며 오염에 약한 고등생물은 오염에 강한 미생물로 대체된다.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BOD(유기물질)가 감소한다. 활발한 분해 지대 ·용존산소가 없어 부패상태에 도달해 H2S에 의한 냄새 등 악취가 발생한다. 회복 지대 ·분해지대와 반대현상이 일어나 용존산소의 증가에 따라 물이 점차 깨끗해진다. 정수 지대 ·오염되지 않은 자연수처럼 보이며, 많은 물고기가 다시 번식하기 시작한다. 1. 분해지대 유기물 혹은 기타 오염물을 운반하는 하수의 방류지점과 가까운 하류에 위치하며 그 중 최하류단은 여름철 온도에서 용존산소 포화도의 40%에 해당하는..

수질 2021.04.22

막처리 공정 특징, 막의 종류와 Pore size, 막여과법의 장단점

. 막을 여재로 여과하는 공법 . 응집침전, 모래여과 불필요 . 좁은 부지면적 . 유지관리 용이 : 무인화 운전가능 . Cryptosporidium, Giardia 등 세균 제거 가능 . 소규모 정수장과 하폐수 최종처리(3차처리), 반도체공장 및 병원 등의 초순수처리에 적용 . 설비증설이 간단 : 막 모듈의 결합으로 구성 ​ . 정밀여과 (micro-filtration : MF ) : 10 ^-4mm = 0.1 ㎛ .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 UF) : 10 ^-5mm = 0.01 ㎛ . 나노여과 (nano-filtration : NF) : 10 ^-6mm = 0.001 ㎛ . 역삼투 (reverse osmosis..

수질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