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5

악취의 측정과 분석

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 화학분석 측정법 (기기 분석) 등의 3가지 방법 채택. -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은 주관성이 큰 측정법. -화학분석 측정법은 규제대상 8종의 물질에 대해서만 복합취기로 밝혀질 경우 사용. ①직접관능법 : 5인 이상이 측정하여 감지한 악취도가 3 이상인 경우 행정처분과 부과금 부과 취기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선정한 후, 후각이 정상이고 건강한 사람 5명의 조사원(odor panel)에게 6 등급의 취기강도를 결정하게 하여 측정 복합악취 측정에 이용 ②공기희석 관능법 : 측정대상지역에서 채취한 공기시료를 시험실로 운반한 후 무취공기로 희석배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구하는 방법.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현재 유럽과 미국에 서 많이 이용..

대기 2021.04.21

악취의 제어

악취가스 제거 방법 : 흡수, 흡착, 소각 등의 방법 사용 1. 암모니아, 아민류 (저급), 케톤류, 알데하이드류, 저급 유기산류, 페놀 등 친수성의 극 성을 가지는 성분은 물의 흡수처리로 쉽게 제거한다 2. 분자량이 비교적 크고 친수성이 아닌 성분(소수성 성분)에 대해서는 활성탄에 의한 흡착이 좋다 저농도 혼합 냄새의 제거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3. 최근에는 흡착제와 화학약품이나 강력한 산화제를 혼합 성형하여 악취가스를 건식으로 흡착하고, 화학반응에 의해 산화분해처리를 함으로써 흡착법을 보완한 시설이 응용된다 4. 탄화수소류의 가연성 악취는 직접연소 또는 촉매연소에 의한 처리효과가 매우 크다. 5. 황화합물 계통의 악취제거에 오존을 이용하여 산화하고 흡수시키면 효과가 증대된다. 6. 은폐법 (mas..

대기 2021.04.21

산성비 특징, 환경 협약, 산성비와 관련된 토양의 성질

산성비는 화석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을 함유한 pH(수소이온지수) 5.6 미만의 비를 말한다. 이는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빗방울에 흡수되었을때의 pH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비의 pH는 5.6 정도로 약산성이다 - 증류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지 않으며 7.0의 중성 pH를 지닌다. (1) 특징 - 인위적으로 배출된 SOx, NOx 화합물질이 대기중에서 황산 및 질산으로 변화되어 발생한다. - 호수의 산성화는 유입된 산성비와 이에 대한 호수의 완충작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 대리석과 석회석의 구조물은 알칼리성이므로 산성비에 의해 부식과 변색이 가속화된다. - 강우의 산성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황산가스(SO2) - 산성비의 저감대책: 청정연료 사용,..

대기 2021.04.21

악취방지법과 지정악취물질, 악취공정시험법

악취는 일반적인 대기오염과는 달리 그 원인물질이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국지적/순간적으로 발생/소멸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현행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대기오염 관리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악취를 그 특성에 맞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2004년 2월 9일 악취방지법을 제정, 2005년 2월 시행부터 시행하고 있다. 제2조(정의) 1.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말한다. 2. “지정악취물질”이란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악취배출시설”이란 악취를 유발하는 시설, 기계, 기구, 그 밖의 것으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대기 2021.04.21

악취유발 물질, VOC/VIC, 물리화학적 특성

유기/무기화합물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 유기화합물)류: 벤젠, 톨루엔, 벤젠, 페놀,메르캅탄류 등 VIC (volatile inorganic compound; 휘발성 무기화합물)류: 암모니아, 염소, 황화수소 류 등 화합물의 조성에 따른 분류 -질소화합물 : 축산관련, 분뇨․하폐수처리장, 비료 제조공장 등에서 저농도로 발생. 암 모니아가 대표적 물질 -황화합물 : 대표적 악취유발물질.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메틸메르캅탄 등 -저급지방산류 : 축산관련, 유지공장, 분뇨․하폐수처리장 등에서 발생. 아세트산, 프로 피온산 등 -카르보닐 화합물 : 연료의 불완전 연소, 식품화학, 석유화학 등의 제조공정에서 발생.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아..

대기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