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10

AAS 분석의 스펙트럼 방해로 인한 <바탕보정 방법>

바탕선 보정(Bckground Correction)이란 무기물질의 미량분석시 매트릭스의 간섭이나 방해물질들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원하는 성분의 정확한 농도를 측정하도록하는 보정방법이다 두선 보정법, D2 램프 보정법, Zeeman 효과 바탕 보정, Smith-Heiftje 바탕보정 (1) 두선 보정법(two line method) 분석 파장에서 시료의 전체 흡광도를 측정 : A시료전체 = A분석원소 + A바탕 분석 파장의 전후 ±20nm 범위 이내의 적당한 두 파장(220nm이하)의 파장에서는 ±5nm 이내)에서 바탕의 흡광도(A바탕)를 측정 바탕값 2)를 전체 흡광도로부터 빼면 분석 원소 자체의흡광도 ▶ 바탕 보정 장치가 없을 경우에도 보편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2) D2 (Deuterium) ..

화학 2021.06.24

AAS 분석의 간섭(interference)

* 방해란 분석물질의 농도 자체가 변화되지 않지만 신호를 변화 시켜 측정에 오차를 주는 현상 4가지: 물리적 방해, 화학적 방해, 이온화 방해, 분광학적 방해 1. 물리적 방해(Physical Interference) '매트릭스 효과(matrix effect)'라고도 한다. 시료용액과 표준용액의 물리적 성질, 즉 용액의 점도, 표면장력, 온도, 휘발성 등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여, 원자화 장치에 시료를 분무시킬 때 용액의 유속(흡입량)과 시료방울 크기의 차이가 발생하여 중성원자의 생성효율에 영향을 끼쳐 흡광도의 차이를 일으킨다. 제거 방법에는 시료와 표준용액에 똑같은 용매 사용, 용질의 농도를 0.5%이하로 유지, 용액들 간의 온도 차이를 4oC 이내로 유지, 표준물 첨가법을 사용, 50-100ml 정도의..

화학 2021.06.24

산염기, 중화, 중화반응, 중화 적정곡선, 약산/강산 중화 pH

중화반응 중화는 H+ , OH-가 반응해 물이 되고, 나머지가 염이 되는 반응 중화반응식은 완전히 중화했을 때 기준이며, 중화시킨다는 의미는 과부족없이 반응한다는 것 강산, 약산인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고, H+, OH-의 개수( 산/염기 몰수*가수)가 중요 중화되었다고해서 반드시 중성인 것은 아님 중화적정 지시약 강산-강염기 적정: 페놀프탈레인, 메틸오렌지 약산-강염기 적정: 페놀프탈레인 강산-약염기 적정: 메틸오렌지 약산-암염기: 적정 불가 적정곡선 1. 강산-강염기: 중화점 pH=7=중성 2. 강산-약염기: 중화점=약산= pH7 4. 약산=약염기: 중화점이 확실하지않다

화학 2021.05.07

용액의 농도, ppm 농도 계산/환산

용액의 ppm 농도 계산은 퍼센트농도 계산과 유사하다 용액의 퍼센트농도 계산 w/w % = 용질의 질량 [g] / 전체 질량 [g] * 100 w/v % = 용질의 질량 [g] / 전체 부피 [mL] * 100 용액의 ppm 농도 계산 피피엠(ppm ; parts per million) - 백만분율 어떤 양이 전체의 100만분의 몇을 차지하는가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w/w 기준 ppm 농도 = 용질의 질량 [g] / 전체 질량 [g] * 1,000,000 w/v 기준 ppm 농도 = 용질의 질량 [g] / 전체 부피 [mL] * 1,000,000 따라서 퍼센트농도 * 10,000 = ppm 농도 예제 물 100 kg 에 소금 5 kg가 녹아있다. 이 용액의 % 농도와 ppm 농도는? 5 kg / 100 ..

화학 2021.04.28

용액의 농도, 퍼센트농도 w/w w/v v/v, 몰농도 M, 몰랄농도 m

용액의 농도 (1) 퍼센트 농도(%) : 용액 전체의 양을 100으로 할 때 용질이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10%(v/v) volume/volume 은 100ml에 녹아있는 1ml를 나타내는 수치 10%(w/v) weight/volume 은 100ml에 녹아있는 1g을 나타내는 수치 10%(w/w) weight/weight 은 100g에 녹아있는 1g을 나타내는 수치 예: 95%(v/v) EtOH는 95mL/100mL - 100mL의 증류수에 95mL의 EtOH가 녹아있다는 의미이다 (2) 몰 농도(M) : 용액 1L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한다. 용질의 몰 수 = 몰 농도 × 용액의 부피 용액의 온도가 변할 경우 부피가 변화하게 되므로 몰 농도도 변하게 된다. 온도가 올라갈 경우 용액이 부피가 실..

화학 2021.04.28

GC 분석원리, 기기구조 및 장치, 컬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GC 1. 분석원리 시료주입구에서 주입된 시료는 가열에 의하여 기화되어 기체상태로 불활성 기체(운반기체, 이동상)와 함께 액체고정상을 충전한 컬럼으로 보내어 지고 운반기체의 힘으로 컬럼을 통과하는 사이에 충전제(고정상) 와 접촉하여 흡착과 분배를 반복하면서 출구로 이동한다. 이때 시료 중의 각 성분은 이동상과 고정상에의 분배계수의 차에 의하여 컬럼을 이동하는 속도에 차이가 생긴다. 이동속도에 따라 분리된 각 성분은 검출기에서 감지되어 용출 순서에 따른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다. 2. 기기구조 및 장치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운반기체 조절부, 시료주입부, 컬럼 및 검출기 등의 4부분으로 구성 3. 컬럼 컬럼에는 충전형(packed column)과 캐필러리형(capillary column..

화학 2021.04.27

크로마토그래피, GC와 LC의 비교

크로마토그래피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 이동상과 고정상의 두 개의 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시료 중의 성분이 고정상과 그 사이를 통과해서 흐르는 이동상의 서로 다른 비율로 분배되면 성분마다 고정상을 이동하는 속도에 차이가 생겨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LC의 응용범위가 더 넓다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이동상으로 기체 또는 액체, 고정상으로 액체 또는 고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상으로 기체를 사용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 이동상으로 액체를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 분석원리 GC: 일정한 압력의 운반기체(이동상)을 사용한다.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시료는 기화되어 운반기체를 따라서 분리가 일어나는 고정상(분리관)을 거쳐 검출기에 이른..

화학 2021.04.27

방사성 물질, 특징, 투과도, 단위

방사능이란 아주 간단히 말해 입자를 방출하는 능력 또는 성질이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원소들은 양의 전기를 띠는 원자핵과 음의 전기를 띠는 전자로 구성돼 있다. 원자핵 속에는 양의 전기의 근원인 양성자와 전기가 없는 중성자가 있다. 일부 원소들은 원자핵 상태가 불안정해 보다 안정된 상태로 바뀌는 변화를 겪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입자들을 방출한다. 바로 이런 성질이 방사능이며, 방사능을 가진 원인물질을 방사성 물질이라 부른다. 또한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입자의 흐름을 방사선(放射線·radiation)이라 한다. 알파선: 양의 전기 / 헬륨 원자핵 베타선: 음의 전기 / 전자 감마선: 전기적으로 중성 / 전자기파 과학자들이 방사선의 정체를 잘 몰랐을 때에는 대표적인 세 가지 방사선에 알파선, 베..

화학 2021.04.23

위해성평가, 유해지수 HQ, PNEC, PEC, MEC

위해성평가 노출평가 및 용량-반응 평가에서 도출된 정보를 종합하여 특정화학물질에 특정농도로 노출되었을 경우, 개인 및 인구집단에서 유해한 영향이 발생할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유해지수 = PEC/PNEC or MEC/PNEC PNEC, Predicted no effective concentration 측무영향농도 PEC, Predicted exposure concentration 예측환경농도 MEC, 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측정환경농도 1. 생태 위해성 평가 •유해지수 > 1 (생태독성에 대한 위해가 있음) •유해지수 < 1 (생태독성에 대한 위해가 없음) 2. 인체 위해성 평가 초과발암확률 •초과발암확률 10-6 초과 (발암위해를 무시할 만한 수준은 아님) •초..

화학 2021.04.23

전기화학, 갈바니전지, 표준환원전위

표준환원전위(standard reduction potential) Ecell0 1M 농도 25도, 1기압에서 수소를 기준으로 얼마나 환원을 잘하냐 못하냐를 나타낸 지표(Index) 특정 화합물 혹은 이온이 존재할 때, 그 물질이 얼마나 환원을 하는가를 기준치로 정한 것이다 표준환원전위가 크면, 환원되는 경향이 크다 반대로 표준환원전위가 작으면 산화되는 경향이 크다 아래 갈바니전지에서는 표준환원전위가 큰 구리가 환원되고 아연이 산화된다 Zn 아연전극 산화반응 전자 방출 / Cu 구리전극 환원반응 아연전극에서 구리전극으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른다 Zn (s) -> Zn2+ + 2e- Cu2+ 2e- -> Cu(s) 아연-구리 갈바니 전지의 간략한 표기 Zn (s) | Zn2+ (aq) || Cu2+ ..

화학 20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