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반응
중화는 H+ , OH-가 반응해 물이 되고, 나머지가 염이 되는 반응
중화반응식은 완전히 중화했을 때 기준이며, 중화시킨다는 의미는 과부족없이 반응한다는 것
강산, 약산인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고, H+, OH-의 개수( 산/염기 몰수*가수)가 중요
중화되었다고해서 반드시 중성인 것은 아님
중화적정 지시약
- 강산-강염기 적정: 페놀프탈레인, 메틸오렌지
- 약산-강염기 적정: 페놀프탈레인
- 강산-약염기 적정: 메틸오렌지
- 약산-암염기: 적정 불가
적정곡선
1. 강산-강염기: 중화점 pH=7=중성
2. 강산-약염기: 중화점=약산= pH<7
3. 약산-강염기: 중화점=약염기=pH>7
4. 약산=약염기: 중화점이 확실하지않다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S 분석의 스펙트럼 방해로 인한 <바탕보정 방법> (0) | 2021.06.24 |
---|---|
AAS 분석의 간섭(interference) (0) | 2021.06.24 |
용액의 농도, ppm 농도 계산/환산 (1) | 2021.04.28 |
용액의 농도, 퍼센트농도 w/w w/v v/v, 몰농도 M, 몰랄농도 m (0) | 2021.04.28 |
GC 분석원리, 기기구조 및 장치, 컬럼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