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 화학분석 측정법 (기기 분석) 등의 3가지 방법 채택.
-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은 주관성이 큰 측정법.
-화학분석 측정법은 규제대상 8종의 물질에 대해서만 복합취기로 밝혀질 경우 사용.
①직접관능법 :
5인 이상이 측정하여 감지한 악취도가 3 이상인 경우 행정처분과 부과금 부과
취기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선정한 후, 후각이 정상이고 건강한 사람 5명의 조사원(odor panel)에게 6 등급의 취기강도를 결정하게 하여 측정
복합악취 측정에 이용
②공기희석 관능법 :
측정대상지역에서 채취한 공기시료를 시험실로 운반한 후 무취공기로 희석배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구하는 방법.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현재 유럽과 미국에 서 많이 이용.
그러나 이 방법은 정성적 측정법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의 후각능의 차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③화학분석 측정법 :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이 가능한 분석법.
이 방법은 GC 분석법 (gas chromatography)과 자외선법으로 나누어지는데, 일반적으로 GC 분 석법을 많이 사용
규제대상 8종의 물질에 대해서만 복합취기로 밝혀질 경우 사용
'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취의 제어 (0) | 2021.04.21 |
---|---|
산성비 특징, 환경 협약, 산성비와 관련된 토양의 성질 (0) | 2021.04.21 |
악취방지법과 지정악취물질, 악취공정시험법 (0) | 2021.04.21 |
악취유발 물질, VOC/VIC, 물리화학적 특성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