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BOD 측정, 채취 시료량 계산, BOD 산출

희바희바 2021. 4. 28. 10:56

BOD란

Bio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어로 생화학적 산소 소비량이라 불린다.

물속의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안정된 물질까지 산화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나타난다. BOD는 유기 오탁의 지표가 된다.

BOD값이 높다는 것은 물속에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많은 산소가 필요한 것이다.

 

 

채취 시료량 계산

시료의 BOD값을 예상할 수 있는 경우 채취하는 시료량V(mL)는 아래 식에서 구할 수 있다. 최종 액량은 1L로 한다.

 

 

BOD값 산출

배양 전후의 용존 산소량에서 (가), (나)의 식에서 시료의 BOD값을 산출한다.

(가) 식종을 하지 않을 때

(나) 식종을 했을 때

 

BOD: 생화학적 산소 소비량(mgO/L)

D1: 희석 시료를 조제하여 15분 후의 용존 산소(mgO/L)

D2: 배양 후 희석 시료의 용존 산소(mgO/L)

P: 희석 시료 중 시료가 차지하는 비율

B1: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의 배양 전 용존산소(mgO/L)

B2: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한 식종액의 배양 후 용존 산소(mgO/L)

f: x/y

x: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의 희석 시료 중 식종액(%)

y: 식종액의 BOD 측정 시 희석한 식종액 중 식종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