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막처리 공정 특징, 막의 종류와 Pore size, 막여과법의 장단점

희바희바 2021. 4. 21. 11:27

<막처리공정 특징>

. 막을 여재로 여과하는 공법

. 응집침전, 모래여과 불필요

. 좁은 부지면적

. 유지관리 용이 : 무인화 운전가능

. Cryptosporidium, Giardia 등 세균 제거 가능

. 소규모 정수장과 하폐수 최종처리(3차처리), 반도체공장 및 병원 등의 초순수처리에 적용

. 설비증설이 간단 : 막 모듈의 결합으로 구성

< 막의 종류 : 공경(구멍크기 ; Pore Size )에 따른 분류>

. 정밀여과 (micro-filtration : MF ) : 10 ^-4mm = 0.1 

.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 UF) : 10 ^-5mm = 0.01 

. 나노여과 (nano-filtration : NF) : 10 ^-6mm = 0.001 

. 역삼투 (reverse osmosis : RO) : 10 ^-7 mm = 0.0001㎛ , 해수의 담수화

 

 

■ 막여과(막분리)법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 원수에 포함된 일정 크기이상의 현탁 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음
-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적어 자동화가 간단함
- 시설이 콤팩트하므로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않음
- 응집제 없이도 운전이 가능하거나, 필요시에도 소량만 필요로 하여 운전관리가 간단함
- 공사기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음

- 색, 냄새, 맛 등에 관계되는 용해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재래식처리 방법과의 조합이 필요함-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약품세정이 필요하고, 막의 수명이 짧아 교환비용이 많이 소요됨

- 건설 및 유지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됨

- 고농도의 농축수가 발생하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