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

상수도시설 계획, 계획급수량의 산정, 계획급수량과 수도시설의 규모계획

(1)계획급수량의 정의 1)급수량은 상수 소비량 또는 상수 요구량이라 하며 단위는 lpcd(liter per capita day)이다. (2)급수량의 구성(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1)가정용수 2)영업용수 3)공업용수 4)공공용수 5)불명수량: 누수 등으로 인한 수량 6)소화용수 (3)계획급수량의 종류(특성, 공식) 1)계획 1일 평균급수량 ㉠약품, 전력사용량의 산정, 유지관리비, 상수도요금의 산정 등에 사용되므로 재정계획에 필요한 수량이다. ㉡계획 1일 평균급수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하여야 한다. ㉢계획 1일 평균급수량 =계획 1일 최대급수량×[0.7(중소도시), 0.85(대도시, 공업도시)] ※부하율(=급수량계수, 시간계수,(0.7, 0.85)) 2)계획 1일 최대급수량 ㉠..

수질 2021.04.22

상수도시설 계획, 계획 급수인구의 추정

(1)계획급수인구의 추정 : 과거 약 20년간의 인구증감 자료와 도시의 특수성, 발전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각 방법들 중에서 결정한다. (2)계획급수인구 추정법 1) 등차급수 방법 ㉠연평균 인구증가수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장래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발전이 느린 도시에 적합하다. ㉢추정인구가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P_n: 계획 연도의 추정인구, P_0: 현재 연도 인구(데이터에서 최종연수 인구), n: 현재부터 계획 연도까지 연수, alpha: 과거 데이터의 연평균 인구증가수(=(P_0-P_t)/t, P_t: 현재부터 t년전의 인구(최초년도 인구) 2) 등비급수 방법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장래의 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상당히 긴 기간동안 같은 인구증가율..

수질 2021.04.2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같이 읽으면 좋은 글] lottolearn.tistory.com/15?category=97768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 lottolearn.tistory.com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먹는물 중의 함유실태조사 등의 감시가 필요한 물질을 말한..

수질 2021.04.22

라돈, 과불화화합물(PFOS, PFOA, PFHxS)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2018.05.)

[같이 읽으면 좋은 글] lottolearn.tistory.com/15?category=977682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감시기준 및 검사주기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시행 2019. 6. 25.] [환경부고시 제2019-81호, 2019. 4. 29., 일부개정] 용어의 정의 1. "감시항목"이란 먹는물 수질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나 먹는물의 안전 lottolearn.tistory.com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지하수를 사용하는 일부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검출되는 라돈과 정수장 미규제 미량유해물질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과불화화합물 3종을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신규 지정한다.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되면, 수도사업자(지방자치단체·수공)는 주기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

수질 2021.04.22

전기화학, 갈바니전지, 표준환원전위

표준환원전위(standard reduction potential) Ecell0 1M 농도 25도, 1기압에서 수소를 기준으로 얼마나 환원을 잘하냐 못하냐를 나타낸 지표(Index) 특정 화합물 혹은 이온이 존재할 때, 그 물질이 얼마나 환원을 하는가를 기준치로 정한 것이다 표준환원전위가 크면, 환원되는 경향이 크다 반대로 표준환원전위가 작으면 산화되는 경향이 크다 아래 갈바니전지에서는 표준환원전위가 큰 구리가 환원되고 아연이 산화된다 Zn 아연전극 산화반응 전자 방출 / Cu 구리전극 환원반응 아연전극에서 구리전극으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른다 Zn (s) -> Zn2+ + 2e- Cu2+ 2e- -> Cu(s) 아연-구리 갈바니 전지의 간략한 표기 Zn (s) | Zn2+ (aq) || Cu2+ ..

화학 2021.04.22

하천의 수질변화/자정작용, Whipple의 4단계

하천의 수질변화(Whipple의 4단계) 분해지대→활발한 분해지대→회복지대→정수지대 지대(Zone) 변화 과정 분해 지대 ·오염된 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나빠지며 오염에 약한 고등생물은 오염에 강한 미생물로 대체된다.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BOD(유기물질)가 감소한다. 활발한 분해 지대 ·용존산소가 없어 부패상태에 도달해 H2S에 의한 냄새 등 악취가 발생한다. 회복 지대 ·분해지대와 반대현상이 일어나 용존산소의 증가에 따라 물이 점차 깨끗해진다. 정수 지대 ·오염되지 않은 자연수처럼 보이며, 많은 물고기가 다시 번식하기 시작한다. 1. 분해지대 유기물 혹은 기타 오염물을 운반하는 하수의 방류지점과 가까운 하류에 위치하며 그 중 최하류단은 여름철 온도에서 용존산소 포화도의 40%에 해당하는..

수질 2021.04.22

악취의 측정과 분석

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 화학분석 측정법 (기기 분석) 등의 3가지 방법 채택. -직접관능법, 공기희석 관능법은 주관성이 큰 측정법. -화학분석 측정법은 규제대상 8종의 물질에 대해서만 복합취기로 밝혀질 경우 사용. ①직접관능법 : 5인 이상이 측정하여 감지한 악취도가 3 이상인 경우 행정처분과 부과금 부과 취기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선정한 후, 후각이 정상이고 건강한 사람 5명의 조사원(odor panel)에게 6 등급의 취기강도를 결정하게 하여 측정 복합악취 측정에 이용 ②공기희석 관능법 : 측정대상지역에서 채취한 공기시료를 시험실로 운반한 후 무취공기로 희석배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구하는 방법.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현재 유럽과 미국에 서 많이 이용..

대기 2021.04.21

악취의 제어

악취가스 제거 방법 : 흡수, 흡착, 소각 등의 방법 사용 1. 암모니아, 아민류 (저급), 케톤류, 알데하이드류, 저급 유기산류, 페놀 등 친수성의 극 성을 가지는 성분은 물의 흡수처리로 쉽게 제거한다 2. 분자량이 비교적 크고 친수성이 아닌 성분(소수성 성분)에 대해서는 활성탄에 의한 흡착이 좋다 저농도 혼합 냄새의 제거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3. 최근에는 흡착제와 화학약품이나 강력한 산화제를 혼합 성형하여 악취가스를 건식으로 흡착하고, 화학반응에 의해 산화분해처리를 함으로써 흡착법을 보완한 시설이 응용된다 4. 탄화수소류의 가연성 악취는 직접연소 또는 촉매연소에 의한 처리효과가 매우 크다. 5. 황화합물 계통의 악취제거에 오존을 이용하여 산화하고 흡수시키면 효과가 증대된다. 6. 은폐법 (mas..

대기 2021.04.21

전과정 평가, Life Cycle Assessment 4단계

전과정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는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획득에서 운반, 가공, 생산, 유통, 사용 및 폐기, 재활용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질(대기오염, 수질오염, 고형폐기물 등)의 배출과 사용되는 자원 및 에너지를 계량화하고 이들의 환경영향을 규명하는 기법이다. ​ 전과정 평가는 크게 목적 및 범위정의, 목록분석, 영향평가, 해석의 4단계로 구분된다. ​ 1. 목적 및 범위정의(Goal and Scope definition -> 2. 목록분석(inventory analysis) -> 3.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 -> 4. 해석(interpretation) - 목적 및 범위정의(Goal and Scope definition) 전과정평가의 목적이..

폐기물 2021.04.21

산성비 특징, 환경 협약, 산성비와 관련된 토양의 성질

산성비는 화석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기는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을 함유한 pH(수소이온지수) 5.6 미만의 비를 말한다. 이는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빗방울에 흡수되었을때의 pH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비의 pH는 5.6 정도로 약산성이다 - 증류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지 않으며 7.0의 중성 pH를 지닌다. (1) 특징 - 인위적으로 배출된 SOx, NOx 화합물질이 대기중에서 황산 및 질산으로 변화되어 발생한다. - 호수의 산성화는 유입된 산성비와 이에 대한 호수의 완충작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 대리석과 석회석의 구조물은 알칼리성이므로 산성비에 의해 부식과 변색이 가속화된다. - 강우의 산성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황산가스(SO2) - 산성비의 저감대책: 청정연료 사용,..

대기 2021.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