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

크로마토그래피, GC와 LC의 비교

크로마토그래피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 이동상과 고정상의 두 개의 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시료 중의 성분이 고정상과 그 사이를 통과해서 흐르는 이동상의 서로 다른 비율로 분배되면 성분마다 고정상을 이동하는 속도에 차이가 생겨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LC의 응용범위가 더 넓다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이동상으로 기체 또는 액체, 고정상으로 액체 또는 고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상으로 기체를 사용하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 이동상으로 액체를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 분석원리 GC: 일정한 압력의 운반기체(이동상)을 사용한다. 주입부를 통하여 주입된 시료는 기화되어 운반기체를 따라서 분리가 일어나는 고정상(분리관)을 거쳐 검출기에 이른..

화학 2021.04.27

환경정책론, 환경정책의 개념/특성/기능/과정

개념 환경정책은 환경의 현 상태를 보호하고, 예견되는 추가 오염을 예방하며, 이미 오염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국가적 정책수단의 총합 ① 이미 발생한 기존 환경오염의 제거 및 감소, ② 현재의 환경상태의 유지와 개선, ③ 환경오염에 의한 인간 및 환경 그 자체에 대한 폐해의 제거, ④ 인간, 동식물, 자연환경, 환경매체 및 재화에 대한 위험의 감소, ⑤ 미래 세대와 다양한 생명체의 발전을 위한 여유 공간의 유지 및 확장에 필요한 세부적인 활동 특성 심각성, 경쟁성, 불확실성, 가치지향성 ⇒ 환경정책의 가장 중요한 가치기준은 지속가능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는 것 기능: 예산과 서비스를 적정하게 지역, 계층 등에 배분 개인과 기업, 조직 등에 대한 규제, 그리고 각종 조세나 부과금 등의 재분배를 통한 정책의 ..

환경정책론 2021.04.26

통합환경관리제도, 통합관리의 방법과 촉진 수단

통합환경관리제도 종전 대기·수질·토양·폐기물 등 환경 매체별로 관리하던 허가방식을 '17년부터는 하나로 통합허가하는 제도 저비용·고효율의 최적기술을 적용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최적화하는 환경관리방식 유럽연합 등 선진국의 제도와 경험을 토대로 우리 현실과 특성에 맞게 설계한 제도 1. 허가통합 2. 수용체 중심 관리 3. 과학기반 관리 4. 환경관리 최적화 1. 허가통합 매체별 환경 관리방식 통합 매체간 오염 떠돌이 현상 차단 2. 수용체 중심 관리 배출 영향분석 주변사람, 동식물 등의 환경안전 담보 3. 과학기반 관리 최적가용기법(BAT) 활용 기술발전 및 제조업 경쟁력 강화 4. 환경 관리 최적화 오염물질 저감, 환경안전사고 예방 자원·에너지 사용 최적화

환경정책론 2021.04.26

통합환경관리/통합오염관리, 최적가용기법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통합법, 2017년 1월 1일 시행)‘ 대형사업장(대기오염물질≧20톤, 폐수≧700m3,)의 매체별(대기, 수질 등 10종) 인·허가(지자체 소관)를 하나의 통합환경계획서로 환경부가 허가하는 제도이다 19개 업종의 대형사업장을 대상으로 2021년까지 업종별로 연차적 통합법 시행 중이다 통합법 적용 업종 시행연도 업종(수) 발전·증기, 소각(3) 철강, 비철, 유기화학(3) 석유정제, 비료, 정밀, 무기화학(4) 펄프·종이, 전자제품(3) 반도체, 섬유, 육류, 알콜 등(6)* 시행년도 ‘17~’20 ‘18~’21 ‘19~’22 ‘20~’23 ‘21~’24 기준서 발간 `16, 2권 `17, 3권 `18, 4권 `19, 2권 `19, 2권/ `20, 4권 * ‘2..

환경정책론 2021.04.26

방사성 물질, 특징, 투과도, 단위

방사능이란 아주 간단히 말해 입자를 방출하는 능력 또는 성질이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원소들은 양의 전기를 띠는 원자핵과 음의 전기를 띠는 전자로 구성돼 있다. 원자핵 속에는 양의 전기의 근원인 양성자와 전기가 없는 중성자가 있다. 일부 원소들은 원자핵 상태가 불안정해 보다 안정된 상태로 바뀌는 변화를 겪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입자들을 방출한다. 바로 이런 성질이 방사능이며, 방사능을 가진 원인물질을 방사성 물질이라 부른다. 또한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입자의 흐름을 방사선(放射線·radiation)이라 한다. 알파선: 양의 전기 / 헬륨 원자핵 베타선: 음의 전기 / 전자 감마선: 전기적으로 중성 / 전자기파 과학자들이 방사선의 정체를 잘 몰랐을 때에는 대표적인 세 가지 방사선에 알파선, 베..

화학 2021.04.23

감압병 원인, 증상, 치료

감압병은 압력이 감소하면서 고압이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혈액 및 조직의 질소가 용해되는 질병이다 증상으로는 피로 및 근육과 관절 통증이 있다. 보다 심각한 유형의 증상은 뇌졸중 증상과 유사하거나 무감각, 저림, 팔 또는 다리 쇠약, 불안정, 현기증, 호흡 곤란 및 흉통이 포함될 수 있다. 환자는 산소 및 재가압(고압 또는 고압 산소) 요법으로 치료한다. 수심과 잠수 시간 및 상승 속도를 제한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공기는 주로 질소와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는 고압 상태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심해에서 들이 쉬는 숨에는 수면에서 들이 쉬는 숨보다 훨씬 많은 분자가 들어 있다. 신체가 산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 상태에서 산소 분자를 추가로 흡입해도 보통 축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추가 질소 분자..

보건학 2021.04.23

산업안전보건법, 노출기준-TWA, STEL, C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 TWA 단시간노출기준 STEL 최고노출기준 C “노출기준”이란 근로자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경우 노출기준 이하 수준에서는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기준을 말하며, 1일 작업시간동안의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ime Weighted Average, TWA), 단시간노출기준(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 또는 최고노출기준(Ceiling, C)으로 표시한다.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하여 유해인자의 측정치에 발생시간을 곱하여 8시간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C:유해인자의 측정치(단위:ppm, ㎎/㎥ 또는 개/㎤) T:유해인자의 발생시..

보건학 2021.04.23

화평법 제출서류, 톤수별 시험자료 제출-물리화학적 성질, 인체/환경유해성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신규화학물질 등록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약칭: 화학물질등록평가법 시행규칙 ) 화학물질의 제조·수입량이 0.1톤 이상 1톤 미만인 경우: 물질의 상태, 물용해도, 녹는점/어는점, 끓는점, 증기압 1톤 이상 10톤 미만인 경우: 물질의 상태, 물용해도, 녹는점/어는점, 끓는점, 증기압, 옥탄올/물 분배계수, 밀도, 입도분석 10톤 이상 100톤 미만인 경우: 인화성, 폭발성, 산화성 10톤 이상 1,000톤 미만인 경우: 점도, 해리상수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환경정책론 2021.04.23

위해성평가, 유해지수 HQ, PNEC, PEC, MEC

위해성평가 노출평가 및 용량-반응 평가에서 도출된 정보를 종합하여 특정화학물질에 특정농도로 노출되었을 경우, 개인 및 인구집단에서 유해한 영향이 발생할 확률을 결정하는 단계 유해지수 = PEC/PNEC or MEC/PNEC PNEC, Predicted no effective concentration 측무영향농도 PEC, Predicted exposure concentration 예측환경농도 MEC, Measur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측정환경농도 1. 생태 위해성 평가 •유해지수 > 1 (생태독성에 대한 위해가 있음) •유해지수 < 1 (생태독성에 대한 위해가 없음) 2. 인체 위해성 평가 초과발암확률 •초과발암확률 10-6 초과 (발암위해를 무시할 만한 수준은 아님) •초..

화학 2021.04.23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녹색제품구매법 )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 ( 약칭: 녹색제품구매법 ) (공공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의무) 공공기관의 장은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녹색제품을 구매하여야 한다(제6조) (녹색제품의 구매지침) 환경부장관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다음연도의 녹색제품 구매지침을 수립하여 공공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제7조) (녹색제품의 구매이행계획) 공공기관의 장은 녹색제품 구매지침에 따라 매년 녹색제품 구매이행계획을 수립ㆍ공표하여야 한다(제8조) (녹색제품의 구매실적) 공공기관의 장은 이행계획에 따른 녹색제품의 구매실적을 집계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제9조) 공공기관은 공사설계서 등에 녹색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녹색제품의 구매촉진을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제10조) ..

수질 2021.04.23